
일반 프로듀서
데레
댓글: 1 / 조회: 777 / 추천: 1
일반 프로듀서
관련 링크가 없습니다.
우선 업데이트 내역부터...
1. 영업 요인 계산 시 영업량 입력 방식을 변경했습니다. 이제 영업량을 3개 묶음 기준을 하나로 보지 않고, 개별 영업 1개를 하나로 보므로, 개별 영업의 진행량을 해당 셀에 입력해 주세요.
2. 셀에 유효하지 않은 값을 입력했을 때 그 이유를 알 수 있게 경고창 메시지를 수정했습니다.
3. Live Parade에 대한 계산기 시트가 추가되었습니다. 첨부 파일의 1번째 시트는 신데렐라 로드 계산기, 2번째 시트는 퍼레이드 계산기 시트입니다.
1번 부분이 잘 이해가 안 갈 수도 있으므로 예시를 추가합니다.
하루에 10시간짜리 영업을 액티브, 스마트, 유니크로 각각 2번씩 돌린다고 해 봅시다.
이전 버전에서는 이 경우 영업량을 입력할 때 "10시간 영업을 2번 한다"고 입력했습니다. 영업 진행 가능 칸이 총 3칸이고, 여길 다 채우는 것을 한 묶음으로 보았으니까요.
하지만, 현 버전에서는 진행하는 개별 영업 수를 입력해야 하므로, "10시간 영업을 6번 한다"고 입력해야 합니다.
이렇게 입력 방식을 바꾼 이유는 반드시 3칸에 똑같은 소요 시간의 영업을 넣을 것이라고 보장할 수 없다는 판단이 섰기 때문으로, 이 사실을 퍼레이드 계산기를 제작하던 도중에 인지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합니다.
이번엔 신데렐라 로드 계산기와 퍼레이드 계산기의 통합본을 업로드했습니다.
신데렐라 로드 계산기의 사용법에 대해서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업데이트로 인해 변경된 부분을 제외하면 초기 버전과 다르지 않습니다.
그리고, 신데렐라 로드 계산기를 완성한 뒤 내친 김에 아예 퍼레이드 계산기까지 제작을 하게 되었는데, 이번엔 이것에 대해 설명을 드리도록 하죠.
퍼레이드 계산기는, 역시 신데렐라 로드 계산기와 마찬가지로 퍼레이드 이벤트를 진행하는 동안 자연스태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 만일 그렇지 못하다면 추가적으로 어느 정도의 스태미너를 더 소모해야 하는가를 계산해주는 파일입니다.
자연스태로 상위 15성의 달성이 가능한 신데로드 계산기와 비교했을 때, 퍼레이드 이벤트는 상위 15성을 위해 상당량의 추가 스태미너 소모가 예상되므로 이 쪽이 더욱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퍼레이드 이벤트는 신데로드에 비해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 훨씬 많은 관계로, 그 구조도 신데로드 계산기에 비해 더 복잡하고 직접 입력해야 할 내용 역시 훨씬 많습니다.
그럼, 퍼레이드 계산기의 사용법 및 보는 방법에 대해 간단한 설명을 드리도록 하죠.
우선 파일의 형태는 위와 같으며, 신데렐라 로드 계산기와 같은 파일에 들어 있는 한 시트입니다.
신데로드 계산기와 마찬가지로, 다른 부분은 기본적으로 잠겨 있어 접근할 수 없고, 노란색으로 표시한 셀에만 접근할 수 있게 시트 보호를 해 놓았죠.
여러분은 노란색으로 표시된 셀만 여러분 상황에 맞게 수정해 주시면, 이벤트의 목표 달성에 어느 정도의 노력이 들어가는지, 추가적인 스태미너 소모는 어느 정도가 예상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럼 각 요소의 의미에 대해 차근차근 설명해 보죠.
퍼레이드 이벤트에는 7개의 에어리어가 있고 각 에어리어에는 5개의 공연이 있습니다.
그 중 3개는 초반부터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4~5번 공연은 EX 에어리어의 3번 공연을 성공시키면 진행할 수 있게 됩니다.
사실 지역 명칭은 호쿠토, 수도, 츄오, 카미가타, 니시, 미나미, EX로 나오지만, 이 순서가 EX를 제외하면 매 이벤트마다 변하기 때문에 편하게 순번으로 표시하였습니다.
그럼 구체적으로 이 표를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를 설명하지 않을 수 없겠군요.
퍼레이드 이벤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플레이어들은 자신 앞에 주어지는 각 공연의 미션을 클리어함으로써 다음 공연 및 지역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하지만 매 공연마다 요구되는 스태미너가 천차만별이죠. 따라서 각 공연에서 스태미너를 얼마 요구했는지를 모두 적어 주어야 합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적힌 값은 2018년 12월 초에 진행된 "그대를 향한 시" 이벤트 기준이므로, 매 이벤트 때마다 공연 현황을 확인하고 그에 맞게 수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해당 공연의 미션을 한 번에 클리어하지 못했다면, 그 실패 횟수도 적어 주어야 정확한 계산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그것을 각각 "소비 스태"와 "실패 횟수"에 적어 주세요.
그 뒤에는, 이와 별개로 다음 에어리어를 열기 위해 관객수 확보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요구 관객 수", "관객 확보용 미션", "미션 실패 횟수"는 바로 이 때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 필드죠.
다음 에어리어로 넘어가기 위해 확보되어야 하는 관객 수 (단, 단위는 만명), 1st ~ 3rd 공연 중 어느 공연을 관객 수 확보 단계에 이용했는지, 그리고 그 와중에 미션 조건 미달성을 한 횟수는 얼마였는지를 입력합니다.
단, 이 계산기에서는 동일한 공연만 반복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전략 상의 이유로 여러 종류의 공연을 함께 수행하는 경우에는 오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아, 여기서 "미션 실패 횟수"에 비정상적으로 큰 값을 입력하면 위 사진과 같이 경고가 발생합니다.
요구 관객 수 충족에 저 정도로 많은 플레이 횟수가 들어갈 리가 없는데 그를 초과하는 값을 입력한 것이기 때문에 이 경고를 무시하고 진행할 경우, 계산기가 올바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일부 셀은 목록 상자가 발생하는데, 그 경우 목록 상자 내에서 값을 선택해 주세요. 그 외의 값은 받지 않습니다.
사용자 참고를 위한 표입니다. 스태미너 소모량 별로 해당 공연에서 pt 및 관객, 그리고 해당 공연에서는 몇 곡을 치게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획득 pt 필드가 노란색 바탕으로 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는데, 스코어에 따라 pt 획득량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본인이 각 공연에서 획득하는 pt가 어느 정도 되는지를 확인하고 입력하셔서 pt 예측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도록 합시다.
일단 기본적으로 입력된 값은 2018년 12월 초의 "그대를 향한 시" 이벤트 기준 제가 평균적으로 받은 공연 당 pt입니다.
라파의 경우, Master나 Master+ 라파에 맞추어져 있으며, Pro 이하 난이도의 라파는 염두에 두지 않고 있습니다.
신데로드 이벤트의 그것과 대동소이합니다.
* 이벤트 시작 시 스태미너: 이벤트가 시작하기 직전에 스태미너를 얼마나 쌓아두고 시작했는지를 적어둡니다.
* 현재 MAX 스태미너: 현재 MAX 스태미너를 입력합니다. 레벨 업 보너스, 수면으로 인한 스태미너 낭비 등을 고려하기 위함입니다.
(이 요소로 인해, MAX 스태미너가 자주 변하는 저레벨 시기에는 계산의 부정확성이 높아집니다)
* 레벨업 횟수: 이벤트 기간동안 할 것으로 예상되는 레벨업 횟수를 입력합니다.
* 평균 수면 시간: 평균적인 수면 시간을 입력합니다. 수면으로 인한 스태미너 낭비를 고려하기 위함입니다.
* 유행곡 사용 여부: 유행곡만 골라서 플레이하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입력합니다. 현재는 일부만 유행곡을 사용하는 경우는 염두에 두지 않고 있습니다.
* 무대 연출 사용 여부: 관객수 획득량을 늘려주는 무대 연출을 쓰는지, 쓴다면 몇 %짜리를 사용하는지를 입력합니다. 모든 공연에서 한 가지 종류만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합니다.
* 이벤트 일수: 해당 퍼레이드 이벤트의 기간을 입력합니다. 현재는 8일(174시간)과 9일(198시간)만 구현되어 있습니다.
* 미션 수행 강도: 주어진 35개의 공연을 모두 클리어할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어느 선에서 종료를 할 것인지를 입력합니다.
"유행곡 사용 여부" 이하 4개 셀에는 드롭다운 목록이 있으며, 해당 목록 내의 값만 입력할 수 있습니다.
특히 "미션 수행 강도" 셀에는 4가지 중 하나를 입력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 모두 수행: 7개 에어리어 35개 미션을 모두 클리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상위 포기: 5~6번 에어리어 및 EX 에어리어의 4~5번 공연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상위 15성 달성 불가)
* 하위 포기: 1~4번 에어리어의 4~5번 공연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하위 15성 달성 불가)
* Ex만 접근: Ex 에어리어를 여는 것으로 미션 클리어작을 종료합니다. (상위 및 하위 15성 달성 불가)
앞서 설명한 "미션 수행 강도"에 따른 미션 수행을 완료하면, 이후부터는 주어진 포인트 또는 관객 수 달성을 위해 공연을 반복할 필요가 있습니다.
역시 한 가지 공연만 반복 수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자신이 진행하고자 하는 공연의 소모 스태미너를 우선 입력해 주세요.
역시 도중에 조건을 미달성한 경우가 있다면 그 횟수를 "실패 횟수"에 적어 주시고요.
그 뒤, 자신이 영업으로 획득한 프로모션 아이템의 수를 종류에 맞추어 입력해 주세요.
주의할 점이라면, 한 가지 공연만 반복 수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에 라파를 섞어 플레이함으로써 발생하는 추가적인 프로모션 아이템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이 표에서도 마찬가지로, "실패 횟수" 필드에 너무 큰 값을 입력하면 위 사진과 같은 경고가 발생합니다.
해당 "실패한 공연"만으로도 관객 수 200만명을 넘기게 될 경우에 발생하는 경고인데, 이 경우, 표 ⓐ에서는 별다른 오류가 발생하지 않지만, 표 ⓑ에서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t 획득에 있어서 영업이 미치는 요인을 계산하기 위함입니다. 영업을 얼마나 돌리시는지를 입력해 주세요.
각각 이벤트 첫날, 중간 날들, 그리고 마지막 날에 특정 영업을 얼마나 돌리시는지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이전 버전의 신데로드 이벤트에서는 한 번 영업을 넣으면 세 칸 모두 똑같은 영업을 넣는다고 가정했지만, 이번 버전부터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가정합니다.
이렇게 변경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퍼레이드 영업의 특성이기 때문인데, 관객 수에 혜택을 얻는 유일한 영업인 10시간 영업을 종류별로 매일 1번씩, 총 4번만 수행할 수 있으며, 퍼레이드 이벤트 진행에 있어서는 pt보다 관객 수에 더 신경을 쓸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즉, 처음에 10시간 영업을 3개를 올려 놓았다면, 그 뒤에는 10시간 영업 남은 1개와 다른 영업 2개를 올리는 것이 더 낫더라는 거죠.
그런 이유에서 영업량을 적을 때는 3개의 영업을 하나의 묶음으로 간주해 적지 않고 개별 영업의 수행 횟수를 적는 것으로 수정했습니다.
8일 이벤트에선 총 174시간, 9일 이벤트의 경우 총 198시간이 주어지므로, 영업을 돌리는 총 시간이 이 이벤트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그런 영업 하나 당 4St/h의 스태미너를 소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계산합니다.
그 외엔 영업 초성공 확률도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일단은 50%로 지정해 두었으며, 이것이 실제와 다르다고 판단되면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퍼레이드 pt 획득에 있어서 영업의 요인은, 초성공 기준 4시간 영업에서는 평균 64.5pt, 6시간 영업에서는 평균 97.5pt, 마지막으로 10시간 영업에서는 평균 163pt를 획득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대성공 시에는 초성공 시의 80%의 pt를 획득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표는, 플레이 타입이 "스태미너 드링크를 바로바로 소모하지 않고 우편함에 쌓아두며, 우편함에 있는 스태미너 드링크의 기한이 다 되기 직전을 맞추어 드링크를 소모하는 타입"인 분들을 위해 만들어 두었습니다.
만일 스태미너 드링크를 바로바로 소모하는 타입이라면 이 표는 무시하시거나, 앞으로 사용하게 될 스태드링의 양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렇지 않다면, 드링크 획득 경로에 맞추어 드링크 사용량을 적거나, 경로 파악이 귀찮으시다면 "기타"에 모두 몰아서 적으셔도 무방합니다.
단, 주의할 점은 스태미너 드링크의 갯수를 적는 것이 아니라, 소모하는 스태드링의 스태미너 총량을 적으셔야 한다는 겁니다.
가령, 제가 어느 이벤트 기간에 일일 미션으로 얻은 30 드링크 10개, 주간 미션으로 얻은 30 드링크 2개를 소모한다고 해 봅시다.
그러면, 표에 입력해야 할 값은 "일일 미션"에 300, "주간 미션"에 60입니다.
이렇게 하면 계산을 진행할 준비가 모두 완료되며, 계산 결과는 표 ⓐ, ⓑ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퍼레이드 이벤트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목표는 3가지가 있습니다.
•하위 15성의 획득 (35,000pt 및 관객 825,000명 동원)
•프로듀스 레시피의 획득 (관객 1,150,000명 동원)
•상위 15성의 획득 (40,000pt 및 관객 2,000,000명 동원)
그 외에는 팬수작을 위한 특정 에어리어 관객 수를 330만명까지 동원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만, 이 부분은 접근 방식 자체가 다르므로 여기서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아무튼, 표 ⓐ에서는 위의 3가지 관점에서 목표를 달성하려면 어느 정도의 노력이 들어갈지, 그것을 위해 추가적으로 투입되어야 할 스태미너는 얼마인지를 말해주는데, 각 필드값의 의미를 해석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요구 공연 횟수: "미션 수행 강도"에서 설정한 미션 수행을 완료한 뒤, 표 ④에서 제시한 공연을 몇 번 수행하여야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
* 자연스태 공연량: 자연스태로는 해당 공연을 몇 번이나 수행할 수 있는가?
* 자연스태 최대 점수: "자연스태 공연량"에 규정된 수만큼의 공연을 끝마쳤을 때 pt 및 관객이 얼마나 확보되는 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추가 요구 스태: 앞선 둘을 비교해, 목표 달성을 위해 추가적으로 투입해야 할 스태미너를 계산해 줍니다. 만일 딱히 추가 투입이 필요하지 않다면 "자연스태로 가능"을 표시합니다.
* 머니 소모량: 무대 연출을 사용할 경우, 각 목표의 달성까지 머니가 어느 정도 투입되는지를 확인합니다.
* 24시간 당 LIVE 횟수: 표 ⓑ의 설명 때 다루겠습니다.
"추가 요구 스태" 필드의 경우, 값이 420을 넘지 않으면 옅은 붉은색 배경이 되며, 420을 넘으면 짙은 붉은색 배경이 됨과 함께 글씨가 볼드체가 됩니다.
기준선이 420인 것은 일일 미션 등으로 매일 30 스태드링을 얻을 수 있으며, 우편함에서의 보관 가능 기간이 2주임을 고려한 것입니다.
즉, 짙은 붉은색 배경은 목표 달성을 위해 우편함에서 무기한 드링크를 소모할 수 있음을 알려주는 경고입니다.
이제 이러고 나면, 구체적인 계산을 위해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것들이 몇 가지 생길 겁니다.
프로모션 아이템은 미션 클리어작 도중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합니다. 혹시 미션에 실패하면 손해를 입게 되니까요.
따라서 프로모션은 미션 클리어가 모두 끝난 뒤부터 사용하게 되며, 10%부터 차례대로 소모하는 것으로 가정합니다.
만일 무대 연출을 사용한다면, 해당 무대 연출과 %가 같거나 더 높은 프로모션을 먼저 소모한 뒤 무대 연출을 이어서 소모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가령, 이벤트 진행 시 5%의 관객 수 보너스를 제공하는 무대 연출을 사용한다면, 미션 클리어작 종료 후 다음의 순서에 따라 아이템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는 거죠.
10% 프로모션 사용 → 모두 떨어지면 5% 프로모션 사용 → 모두 떨어지면 5% 무대 연출 사용
도중 미션 실패 횟수가 있었다면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서 계산합니다. 즉, 10% 프로모션을 사용한 공연이 있으면 그 때 공연 조건 미달성이 일어난 것으로 가정한다는 이야기죠. 이 횟수가 모두 소진되면 5%, 3%, 0% 순으로 내려가게 됩니다.
즉, 아주 정확한 계산을 해 준다기보다는 "아무리 최악의 상황이라도 이 정도 하면 목표 달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참고선으로 보는 것이 옳습니다.
미션 클리어 이후 퍼레이드 세팅을 "라파"로 할 경우, 관객수와 관련된 목표를 염두에 두고 있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므로 레시피 및 상위 15성 항목이 비활성화됩니다.
단, 주의할 점은 하위 15성 항목은 활성화가 되어 있으나, 미션 클리어 이후 퍼레이드 진행을 온전히 라파로 하게 될 경우 하위 15성의 관객수 825,000명을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점 숙지해 주세요.
(일반적인 퍼레이드 진행 시 35,000pt 달성 시 82.5만 관객은 자연스럽게 달성되기 때문에 이 문제를 염두에 두지 않았습니다. 차후에 수정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미션 수행 강도 세팅을 "상/하위 포기"로 하면 표의 상/하위 15성 항목이 비활성화됩니다.
그리고, 미션 수행 강도 세팅을 "Ex만 접근"으로 하면 상위 및 하위 15성 항목이 모두 비활성화됩니다.
이 부분은 제 개인 만족을 위해 만든 측면이 있는데, 해당 퍼레이드 이벤트에서 상위 15성을 달성하는 것이 재화나 그루브 이벤트로 치면 어느 정도 pt를 얻는 것과 비슷한 수준이 되는지를 측정해 줍니다.
다만, 이것은 어떤 측면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답이 달라지기 때문에, 2가지 관점에서 지표를 내 보았습니다.
여기서, 재화나 그루브 이벤트와 비교할 때 비교 대상인 재화 / 그루브 이벤트에서는 배수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영업도 추가 스태미너 소모 없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합니다.
앞선 표 ⓐ에 보시면 "추가 요구 스태" 필드에 상위 15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스태미너를 자연스태 외에 추가로 소모해야 하는지가 적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이만큼의 추가 스태미너 소모가 이루어졌다면 9일(198시간) 재화나 8일(174시간) 그루브에서는 몇 pt를 얻을 수 있을까요?
그것을 적어놓은 것이 "스태미너 추가 충전량 측면" 항목입니다.
최상단의 사진 예시의 경우, 만렙에 156의 스태미너를 미리 쌓아놓은 상태에서 9일짜리 퍼레이드를 시작하면 상위 15성 달성을 위해 1436.75의 스태미너를 자연스태 외에 추가로 충전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표 ⓑ에서는 이 정도의 추가 스태미너 충전을 9일 재화 이벤트 때 했다면 55,007pt, 8일 그루브 이벤트의 경우 59,704pt를 획득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알려주고 있죠.
이는 일반적인 재화 / 그루브 이벤트의 in 10000 컷보다 조금 더 높은 수준에 해당하며, 다르게 말하면 경쟁형 이벤트에서 하위 15성 만드는 수준에서 조금만 스태미너를 더 들이면 퍼레이드에서는 상위 15성도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되죠.
이 항목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선 우선 표 ⓐ에서 설명을 생략했던 "24시간 당 LIVE 횟수"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 합니다.
각 공연에는 1곡, 2곡, 또는 3곡이 들어가며, 이들의 기록을 총괄하여 미션 성공 여부를 판가름하죠.
스태 소모가 10~20인 공연에선 1번, 25~35일 경우엔 2번, 40~50일 경우엔 3번의 LIVE를 한 공연 내에서 진행하게 됩니다.
그럼, 이를 바탕으로 상위 15성 달성을 위해 몇 번의 LIVE를 진행해야 하는지를 연산할 수 있겠죠.
그 총 요구되는 LIVE 횟수를 24시간 당으로 평균을 낸 것이 "24시간 당 LIVE 횟수"입니다.
그럼, 매일매일 그만큼의 LIVE를 쳐 내는 페이스로 재화나 그루브 이벤트를 뛴다면 몇 pt를 얻을 수 있을까요?
그것을 적어놓은 것이 "일일 LIVE 노동량 측면" 항목입니다.
다시 최상단의 사진 예시로 돌아가면, 같은 전제에서 상위 15성의 달성을 위해서는 24시간 당 33.77회의 LIVE를 진행하는 정도의 페이스가 요구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표 ⓑ에서는 이 정도의 페이스로 경쟁형 이벤트를 진행한다면, 9일 재화 이벤트에선 46,568pt, 8일 그루브 이벤트에선 46,646pt를 얻을 수 있다고 알려주고 있습니다.
참고로, 해당 이벤트에서 자연스태를 온전히 소모하면 대강 저 정도 선에서 이벤트를 마치게 됩니다.
따라서, 퍼레이드 이벤트에서의 상위 15성 달성은, 재화나 그루브 이벤트에서 자연스태를 꼬박꼬박 소진하는 것에 비견될 수 있을 정도로 체력적으로는 크게 무리가 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 이 표는 상위 15성을 노릴 수 있는 환경에서만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미션 수행 이후 퍼레이드 세팅을 "라파"로 했거나, 미션 수행 강도를 "상위를 포기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경우 비활성화됩니다.
이것으로 퍼레이드 계산기에 대한 설명을 끝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이해가 안 가는 사항이나 문의사항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 주세요!
총 11,552건의 게시물이 등록 됨.
1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