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카테고리.

  1. 전체목록

  2. 샤니

  3. 데레

  4. 밀리

  5. sideM

  6. 콘솔



데레

신데렐라 로드 이벤트 자연스태 계산기!

댓글: 1 / 조회: 420 / 추천: 2


관련링크


본문 - 11-25, 2018 00:25에 작성됨.

다음 신데로드 이벤트가 오려면 거의 2달 기다려야 하는데다, 솔직히 신데로드가 전반적으로 막 시간을 들여서 심사숙고해야 하는 부류의 이벤트는 아니어서 그 실효성이 심히 의심이 되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꽤 도움이 되는 편이었고 그로 인해 마구 폭주해버린 결과물로서 신데로드 이벤트 계산기가 만들어졌습니다(...)


다운로드 링크


어쨌거나 이 계산기의 목적은, 말 그대로 현재 자신의 덱 상태가 이렇고, 목표가 저러할 때, 이 목표를 이번 신데로드 이벤트 기간 동안 자연스태로 달성할 수 있는가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단, 이벤트 도중에 상태가 바뀌는 경우는 염두에 두지 않았기 때문에 한계가 어느 정도 있기는 합니다.

(이 부분은 구현하기도 어렵고, 설령 구현했다고 해도 계산기 양식이 훨씬 복잡해질 것이 분명해서...)


아무튼, 이 파일의 사용법 및 보는 방법에 대해 간단한 설명을 드리도록 하죠.




c0221826_5bf8c10116076.png


우선 파일의 형태는 위와 같습니다. 네, 따로 프로그램을 짠 건 아니고, 엑셀로 만든 거예요.

다른 부분은 기본적으로 잠겨 있어 접근할 수 없고, 노란색으로 표시된 셀에만 접근할 수 있도록 시트 보호를 해 놓은 상태입니다.

즉, 여러분은 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의 셀만 여러분 상황에 맞게 수정해 주시면 자연스태로 신데로드 이벤트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 그렇지 않다면 추가적으로 어느 정도의 스태미너를 소모해야 하는지를 바로 확인하실 수 있는 거죠.

그러면, 각 요소는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차근차근 설명을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① 기본 변수들

* 이벤트 시작 시 스태미너: 말 그대로, 이벤트가 시작하기 직전에 스태미너를 얼마나 쌓아두고 시작했는지를 적어둡니다.

* 2배 발생율: Ex 스테이지 플레이 중 "이동 칸 수 2배 보너스"가 발생할 확률을 입력합니다. Ex 이외의 스테이지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합니다. (체감 상 거의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

* 현재 MAX 스태미너: 말 그대로, 현재 MAX 스태미너를 입력합니다. 레벨 업 보너스, 수면으로 인한 스태미너 낭비 등을 고려하기 위함입니다. (이 요소로 인해, MAX 스태미너가 자주 변하는 저레벨 시기에는 계산의 부정확성이 높아집니다)

* 레벨업 횟수: 이벤트 기간동안 할 것으로 예상되는 레벨업 횟수를 입력합니다.

* 평균 수면 시간: 평균적인 수면 시간을 입력합니다. 수면으로 인한 스태미너 낭비를 고려하기 위함입니다.

* Ex 스테이지 플레이 난이도: 이동 칸 수에 스타랭크가 영향을 미치는 Ex 스테이지를 어떤 난이도로 플레이하는지를 입력합니다. 이는 하위 루트의 스테이지 1에도 반영됩니다.

* 보상 아이돌 유무: 보상 아이돌을 덱에 편성하는지의 여부를 입력합니다.

* 곡 타입 일치 여부: 칸의 색깔에 맞추어 곡 타입을 선정하는지의 여부를 입력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모든 LIVE에서 곡 타입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가정합니다.


"Ex 스테이지 플레이 난이도" 이하 3개 셀에는 드롭다운 목록이 있으며, 해당 목록 내의 값만 입력할 수 있습니다.

2배 발생율의 경우, 원래 정해져 있는 값이 있을 테지만, 정확한 확률에 대해 확인된 바가 없습니다. 일단은 10% 정도로 판단되어 10%로 입력하였으나, 확률이 10%와 다르다고 여겨지시면, 맞다고 여기시는 값으로 수정해서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② 우편함에 들어 있는, 기한이 다 되어 가는 스태드링 총량

이 표는, 플레이 타입이 "스태미너 드링크를 바로바로 소모하지 않고 우편함에 쌓아두며, 우편함에 있는 스태미너 드링크의 기한이 다 되기 직전을 맞추어 드링크를 소모하는 타입"인 분들을 위해 만들어 두었습니다.

만일 스태미너 드링크를 바로바로 소모하는 타입이라면 이 표는 무시하시거나, 앞으로 사용하게 될 스태드링의 양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렇지 않다면, 드링크 획득 경로에 맞추어 드링크 사용량을 적거나, 경로 파악이 귀찮으시다면 "기타"에 모두 몰아서 적으셔도 무방합니다.

단, 주의할 점은 스태미너 드링크의 갯수를 적는 것이 아니라, 소모하는 스태드링의 스태미너 총량을 적으셔야 한다는 겁니다.

가령, 제가 어느 이벤트 기간에 일일 미션으로 얻은 30 드링크 9개, 주간 미션으로 얻은 30 드링크 1개, 그리고 그루브 미션을으로 얻은 30 드링크 2개를 소모한다고 해 봅시다.

그러면, 표에 입력해야 할 값은 "일일 미션"에 270, "주간 미션"에 30, 그리고 "그루브 미션"에 60입니다.




③ 순수 어필치

이 표는 이동 칸 수에 스타 랭크가 아닌 어필치가 영향을 주는 하위 루트 2~5 스테이지 및 상위 루트 1~4 스테이지를 위해 제공되었습니다.


c0221826_5bf95c83e0e76.png


위 사진의 네모 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특정 스테이지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덱의 순수 어필치를 100으로 나누어서 표에 적으시면 됩니다.

이 때 소수점 아래는 적으셔도 무방하지만, 어차피 100 단위 미만은 별 의미가 없기 때문에, 소수점 아래는 버림하시는 것이 편하실 겁니다.

가령, 제가 위의 덱을 댄스 어필치가 중요한 하위 스테이지 3에서 사용한다고 하면, 표의 "Da" 필드에 378.28 또는 378을 입력하면 되며

총 어필치가 중요한 상위 스테이지 4에서 쓰려고 한다면, 표의 "All" 필드에 (20241+37828+22950)/100 = 810.19 또는 810을 입력하면 됩니다.


참고로, 스테이지별로 중요시되는 어필치는

•보컬 어필치 (Vo): 하위 S2, 상위 S1
•댄스 어필치 (Da): 하위 S3, 상위 S2
•비쥬얼 어필치 (Vi): 하위 S4, 상위 S3
•총 어필치 (All): 하위 S5, 상위 S4

이며, 이동 칸 수에 영향을 주는 경계선이 되는 어필치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정 한 어필의 경우: 12000, 27500, 30000, 34000
•총 어필의 경우: 25000, 60000, 66000, 75000


마지막으로 "난도" 필드는, 어필치가 영향을 주는 스테이지를 어떤 난이도로 플레이하는지를 입력하는 란입니다.

역시 드롭다운 목록이 있습니다.




④ 트레이너 미션에 소모한 스태미너 양

말 그대로, 트레이너 미션에 스태미너를 어느 정도 소모했는지를 적는 표입니다.

트레이너 미션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칸 이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습니다.

각 미션을 완료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스태미너 양과 그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위 S1, S2, 상위 S1: 최소 10 소모. Debut 피냐 또는 Light 난이도 임의의 곡을 클리어.
•하위 S3: 최소 10 소모. DOKIMEKI 에스컬레이터 Light 난이도를 Perfect / Great을 250개 이상 내고 클리어.
•하위 S4: 최소 15 소모. 오네신 Pro 등 난이도 15~16의 일부 곡, 또는 Trick 난이도의 일부 곡을 300콤보 이상으로 클리어.
•하위 S5: 최소 19 소모. 난이도 26 이상의 Master 난이도 곡을 풀콤보 클리어.
•상위 S2: 최소 15 소모. 하위 S4에서와 동일한 곡을 Perfect / Great 300개 이상 내고 클리어.
•상위 S3: 최소 15 소모. Trick 난이도 일부 곡 (후술) 을 400콤보 이상으로 클리어.
•상위 S4: 최소 19 소모. 난이도 28의 Master 난이도 곡을 풀콤보 클리어. M@GIC이 그나마 무난합니다.


그리고 몇 가지 추가 사항을 말씀드리도록 하죠.


* 하위 S1, S2, 상위 S1 (스코어 합계 각각 10만, 17만, 20만 이상)

정말로 데레스테를 처음 시작하시는 초심자라면 이것도 한 번에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그 경우라면 애초에 이 계산기를 찾을 일도 없을 것이라 판단되므로 아무 곡이나 한 번 치면 이 미션은 완료할 수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 하위 S3 (Perfect / Great 개수 합계 250개 이상)

스마트 라이브의 Light 난이도로 이 미션을 시도할 경우, 오직 DOKIMEKI 에스컬레이터로만 한 번에 클리어가 가능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최소 Regular의 13 이상 난이도 곡을 이용해야 하며, 이 경우 최소 13의 스태미너가 소모되게 됩니다.

Light 난이도는 Trick 난이도와 달리 플릭이나 슬라이드가 없기 때문에, Regular나 Pro 풀콤치실 수 있다면 충분히 풀콤이 가능할 겁니다.

아니, 풀콤 칠 필요도 없군요. 맞춘 노트 개수만 맞추면 되니까...


* 하위 S4, 상위 S2 (300콤보, 또는 Perfect / Great 300개, 아무튼 300 관련 미션)

피냐 돌리지 맙시다. Pro 난이도가 노트 수가 웬만하면 300개가 넘지만, 300개가 안 되는 곡이 간혹 있거든요. 괜히 피냐 굴렸다가 그런 곡 걸리면 한 판을 더 돌려야 하는 불상사가 생기는 수가 생깁니다.

오네신 Pro가 가장 무난하니 (노트 수 340개 내외) 이걸로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상위 S3 (합계 MAX 콤보 400 이상 달성)

Trick 난이도에서 노트 수가 400개를 넘는 곡은 2018년 11월 24일 기준으로 9곡이 있습니다. 다음과 같죠.


•Never Say Never
•Lilac Time
•Radio Happy
•공명세계의 존재론
•안즈의 노래
•메르헨 데뷔
•비밀의 트왈렛
•Hotel Moonside
•DOKIMEKI 에스컬레이터


이 중에선 에스컬레이터가 가장 무난합니다. 비교적 단타 위주고, 노트 수도 640개나 되기 때문에 중간에 실수하더라도 만회가 가능하거든요.

다만, Trick으로 이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조금 난이도가 있긴 하므로, 차선책으로 Pro 난이도의 17~18 난이도 곡을 고르는 방법을 택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스태미너 16이 소모되며, 가능한 곡으로는 2018년 11월 24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총 17곡이군요.


•M@GIC
•도레미 팩토리
•즐거운 Party Night (올타입)
•오렌지 사파이어
•리틀 리들
•하이파이 데이즈
•아이쿠루시이 SSA 리믹스
•광시곡
•Twilight Sky
•저녁 노을 프레젠트
•에튀드는 한 곡만
•순정 Midnight 전설
•맹렬 세상개혁 길티
•Let's Go Happy!!
•Wonder goes on!!
•빛나는 세계의 마법
•Virgin Love


* 하위 S5 및 상위 S4 (합계 26 / 28레벨, 풀콤 1회 이상)

이 미션은 웬만한 실력으로는 한 번에 클리어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나마 하위 쪽은 26렙 풀콤이라 나은데, 상위의 28 풀콤은...

일단 한 번에 풀콤을 도전해 본 뒤, 실패하게 되면 데뷔 난이도로 한 번 더 플레이를 하게 될텐데, 이 경우 29의 스태가 소모됩니다.

만일 이 미션을 한 번에 클리어하는 것이 아예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데, 조금이라도 스태미너를 아끼길 원한다면, 이 방법도 있습니다.


•하위 S5: 난이도 13의 Regular 곡을 2회 플레이. 이 경우 26 스태미너가 소모됩니다.
•상위 S4: 난이도 14의 Regular 곡을 2회 플레이. 이 경우 28 스태미너가 소모됩니다.


이론상 스마트 라이브를 이용하면 스태미너를 저것보다 더 아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만, 정말로 가능한지 직접 실험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이후 이벤트에서 확인이 필요합니다.


•하위 S5: 난이도 18의 Trick 악곡 + 난이도 8의 Light 악곡으로 합계 26을 맞추면, 15 + 10 = 25 스태미너가 소모됩니다.
•상위 S4: 난이도 18의 Trick 악곡 + 난이도 10의 Regular 악곡으로 합계 28을 맞추면, 15 + 12 = 27 스태미너가 소모됩니다.


뭐, 아낀다고 해 봐야 1~4밖에 안 되기 때문에, 사소한 데 너무 신경쓰기 싫다 하면 일단 26 / 28렙 곡을 질러보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그 외, 신의 운을 타고나셨다고 생각하신다면, Regular 피냐 2번으로 난이도 합계를 맞추어 24 스태미너로 끝장보는 것도 이론상 가능은 합니다(...)




⑤ 영업 요인 계산

칸 수 이동에 있어 영업이 미치는 요인을 계산하기 위함입니다. 영업을 얼마나 돌리시는지를 입력해 주세요.

각각 이벤트 첫날, 이벤트 중간 날들, 그리고 이벤트 마지막 날에 특정 영업을 얼마나 돌리시는지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여기서는 한 번 영업을 넣으면 세 칸 모두 똑같은 영업을 넣는다고 가정합니다.

7일짜리 이벤트에서는 총 150시간, 8일 이벤트의 경우 총 174시간이 주어지기 때문에, 영업을 돌리는 총 시간이 이 이벤트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영업 1개당 4스태미너/시간 (이하 St/h), 한 번에 3개의 영업을 돌리므로 12St/h만큼의 스태미너를 소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계산합니다.


그 외에는 영업 초성공 확률도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일단은 50%로 지정해 두었으며, 이것이 실제와 다르다고 판단되면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신데로드 칸 수 이동에 있어서 영업의 요인은, 영업 하나 당 4시간 영업은 평균 2개, 6시간은 평균 3개, 10시간은 평균 5개의 스스메 티켓을 받으며, 초성공이 발생할 경우 1개를 추가로 더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⑥ 이벤트 목표와 그 달성 가능성

이제, 최종적으로 자신의 목표를 자연스태로 달성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점쳐봅니다.

노란색으로 표시된 셀에 이벤트 기간, 자신이 최대로 동원할 수 있는 스타랭크, 목표로 하는 상위 / 하위 보상 카드의 수를 입력합니다.

단, 스타랭크는 47성 이상, 61성 이상, 75성 이상, 81성 이상이라는 것만을 표시할 수 있으며, 목표로 하는 보상 카드의 수 역시 1장, 15장, 16장, 30장 중 하나만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정한 이유는, 우선 스타랭크의 경우 해당 스타랭크가 칸 수 이동량을 결정하는 경계점이 되기 때문입니다.

각 스타랭크는 다음의 조건에서 달성이 가능합니다.


•47성: 15성 3장, 또는 15성 1장과 10성 3장을 덱에 투입한 뒤, 보상 아이돌을 덱에 투입하면 달성 가능.
•61성: 15성 4장과 보상 아이돌을 덱에 투입하면 달성 가능.
•75성: 15성 5장 시 달성 가능. 또는 20성 3장과 14~15성 1장이 있으면 달성 가능.
•81성: 20성 4장과 보상 아이돌을 덱에 투입하면 달성 가능.


15성 카드를 어느 정도 쌓아두신 분이라면 일반적으로 61성 편성의 덱을 사용하실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Pro나 Master 난이도를 돌릴 경우 47성이나 61성이나 이동 효율이 같기 때문에, 47성 편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75성 편성의 경우, 61성 편성에서 보상 아이돌의 15성을 만든 뒤, 추가적으로 특훈 전 카드를 더 확보하기 위해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81성 편성은 20성이 없이는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사실상 핵과금러만의 영역이라 하겠습니다.


보상 카드의 수의 경우,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구간을 설정해 두었습니다.


•1장: 명함컷을 하는 것으로 족하다.
•15장: 해당 카드의 15성을 확보하기를 원한다.
•16장: 해당 카드의 15성을 확보한 뒤, 특훈 전 카드를 함께 소장하기를 원한다.
•30장: 해당 카드를 특훈 전/후로 15성을 만들기를 원한다.


아무튼, 이러한 기본적인 입력을 완료하면, 자연스태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량과 해당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요구량이 해당 셀에 뜨게 됩니다.

그 뒤, 자연스태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만일 불가능하다면 스태미너를 어느 정도 더 투자해야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까지 알려주도록 했습니다.

(주의하실 점은, 스태미너는 설정해 둔 대로의 Ex 스테이지 LIVE에 투자해야 한다는 겁니다. 영업은 LIVE보다 효율이 훨씬 떨어져요!)




여기까지가 계산기에 대한 설명이며, 이 6가지만 이용해도 계산기를 사용하는 데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목표 설정에 있어서 참고할 수 있도록 2가지 표를 더 제공하고 있습니다.

표 ⓐ는 일수와 스타랭크 구간에 따라 루트 이동에 필요한 LIVE 수, 이벤트 기간 동안의 총 이동량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표 ⓑ는 목표 카드 수에 따른 요구 이동량을 적어두고 있는데, 여러분이 설정하신 일수와 스타랭크 조건에서 자연스태로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면 해당 셀의 배경이 붉게 변하고, 글씨는 볼드체로 변하도록 설정하여 목표 설정에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럼, 이 쯤에서 기본적인 설명은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이해가 안 가는 사항이나 문의사항이 있다면 덧글로 남겨 주세요!

2 여길 눌러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