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이상한 얘기를 할 건데, 들어주실래요?

댓글: 8 / 조회: 726 / 추천: 2


관련링크


본문 - 12-03, 2018 20:24에 작성됨.

여러분은, '자신의 삶이 유한하다'는 걸 자각한 적이 있나요? 있다면 언제?


초등학교 2학년 때 만화 '서유기'를 읽었어요.

오공은 언제나처럼 부하들과 즐겁게 놀다가 갑자기 울었어요. 왜 그러냐는 부하들의 질문에 '내 지금은 이랗게 즐겁지만 언젠가는 죽을 거 아니냐'고 대답했죠.


이 장면을 본 순간, 느꼈습니다. '죽는다'는 게 뭔지. 어떻게 그걸 느꼈는지 잘 설명드릴 순 없지만⋯ 느꼈습니다. 끔찍할 정도로 확실하게. 뒤따라오는 공포도 같이요.


그 뒤로 지금까지, 10년도 넘게 공포는 지워지지 않고 완전히 트라우마로 자리잡았습니다. 잠깐 눈을 감는 데에도 엄청난 용기가 필요하고, 잠들 수 있는 방법은 인터넷을 하다 지쳐 잠드는 것뿐. 그마저도 영상 같은 걸 틀고 뭐든 소리를 들어야만 잠들 수 있습니다.


중학생 때 의사와 상담해서 약도 처방받았고, 고등학생 때 부모님한테 털어놓고 위로와 격려를 받기도 했지만, 다 오래 가진 못했죠. 변하는 건 아무것도 없다는 걸 알고 있었으니까. 대학생이, 즉 성인이 되고 나서는 더 심해졌습니다. 다 이상 저를 보호해주던 '부모님'이라는 울타리에서 조금씩 벗어나야만 한다는 걸 느꼈기 때문이겠죠. 한편으로는 벗어나기 싫어하면서도.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전 집착이 매우 강합니다. 그리고 제가 지금 잡착하고 있는 건, '삶' 그 자체입니다. 


사는 게 너무 좋아요. 

지금의 평범하고 다람쥐 쳇바퀴 같은 일상이 미치도록 좋다고요. 집에 돌아오면 항상 있는 가족도, 가끔 연락하는 친구도, 1년에 한두 번 보는 친척들도 전부. 기쁜 일도 슬픈 일도 괴로운 일도 보잘것없는 일도 모두 좋아요. 너무나도 당연한 일상이, 너무나도 좋아서 견딜 수 없어요.


하지만 언젠가 그것들이 당연한 게 아니게 되는 순간이 반드시 찾아오겠죠. 큰 이변이 없다면, 아마 부모님부터 제 곁을 떠나실 거예요. 생각하기도 싫지만, 그게 자연의 섭리니까. 그리고 저도 언젠가는 사라져요. 똑같이 자연의 섭리니까.


그게⋯ 너무 싫어요. '어쩔 수가 없다'는 게.

그리고 그렇게 스스로가 저항할 도리 없이 끝을 향하고 있다고 느낄 때마다, 모든 게 꿈 같이 느껴집니다. 잠깐뿐인 허무한 꿈. 즐겁거나 슬프거나 기쁜 것, 괴로운 것도 다 한순간의 꿈이고, 현실에는 아무것도 없는 것처럼 느껴져요.


그럴 때마다 주위를 둘러보면, 외로워요.

다른 사람들은 모두 자신이 처한 현실에 기뻐하거나 슬퍼하고 있는데, 혼자만 진심으로 그렇게 느끼지 못해서. 느끼긴 느끼지만, 어떤 감정이든 오래 가지 못하고 허무함에 삼켜져요.


독일의 어느 철학자가 그랬다죠. '삶이 유한하다는 걸 알기에 인간은 남은 시간에 의미를 부여하고 소중히 사용한다'고. 그게, 저는 그렇지 않네요. 벌벌 떨면서 남은 나날을 세고 있을 뿐. '그 책. 그 서유기만 안 봤다면 이렇게 되지는 않았을텐데"라고 후회하면서. 


이상하죠? 군대도 안 간, 건장한 2X세 청년인데 말이죠. 무슨 시한부 같은 소리나 하고 있고⋯ 해가 떠있는 시간이 짧은 계절에는 쉽게 우울해집니다. 언제부터였는지는 잊어버렸지만요.


모두가 즐거운 이야기를 해도 모자랄 이곳 이때에 너무 어두운 이야기를 했네요. ⋯하루만 봐주실래요? 여기에 털어놓고 싶다고 생각한 것만으로 조금은 안심이 되서.


여기서 더 주절대는 건 민폐겠죠.

오늘은 이만 실례하겠습니다.

2 여길 눌러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