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프로듀서
댓글: 15 / 조회: 903 / 추천: 0
일반 프로듀서
관련 링크가 없습니다.
사실 예전부터 머릿속에 저장 좀 해뒀다가 이제야 쓰는 거지만...
2기가 시작되서는 한주 한주가 염려의 나날들이었습니다.
이번엔 상무가 또 어떤 발암을 유발하고, 분노를 얼마나 일으킬 것인가? 보기 싫다라는 생각이,
아이돌들이 어떤 활약을 할 것이고, 어떻게 발전하게 될 것일까, 기대 된다라는 생각을 압도해버릴 정도로(말은 압도지, 그냥 저랬습니다)
정말로 걱정되고, 미친듯이 화도 내보고, 발암도도 더더욱 올라갔었죠.
거두절미하고 후기를 적어보겠습니다.
상무가 처음부터 별이 어쩌고 하길래 그때 '아니 얘는 막판이라고 될 대로 되라는 건가? 여기까지 와서도 발암유발이야?'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타케P가 언변이 뛰어나서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다만, 상무의 과거는 드러나지 않던데... (처음부터 끝까지 다 봤습니다)
이건 안 봐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봐도 전 상무에 대한 생각은 변하지 않거든요.
그리고 라이브씬을 전부 회상씬으로 때워버린 것만큼은 이해를 할 수가 없네요...
하이라이트 라이브씬의 M@GIC!!은 정말 만족스러웠지만 너무 동작이 밋밋했던 게 상당히 아쉬웠어요.
그리고 결정적인 단점. 왜 모두가 솔로 활동을 하고 있는 건가요?
마지막에 모두가 합심해 활동하는 것을 기대했는데, 전부다 끼리끼리 활동하니 상당히 김빠지고 공허한 느낌이었습니다.
뉴제네라던가 러브라이카라던가 뭉쳐서 활동하는 것을 기대했었는데....
결론. 최악은 아니었지만 최선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상무가 제발 정신 좀 차리고... 아니, 아예 출연하지 말아야 했어요.
이간질에, 아이돌들을 수익으로만 생각하는 사람, 그리고 무엇보다 후미카가 쓰러졌을때 무슨 상황이냐고 빼애액 대고,
(이때 전 육성으로 '아니 이 미XX이 지금 뭐라는거야?'라고 나왔습니다. 친구도 진짜 홍모 씨급이라고 하더군요.)
멀쩡한 애들을 이미지 깍아놓고... 이게 사람입니까? 솔직히 쿠로이 사장보다 더한 폐기물이죠.
이러면서도 마지막화에 상무로 승진했을 때 진짜 악마같다라고 느껴졌습니다...
마지막 결론에 어쩌다가 사적인 감정이 참가되었습니다.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제 남은 건 밀리메이션, 극장판 뿐이려나요....
총 38,185건의 게시물이 등록 됨.
15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쿠로이 사장과 비교해보면 예전부터 나왔고 이미 유쾌한 악역 이미지였던 쿠로이 사장도 따지고보면 치하야가 노래를 완전히 못 부르게 될 뻔 했잖아요?
미시로 상무는 그정도는 아니지만 굉장히 욕을 얻어먹고 있죠. 우즈키 잘라버려는 뭐, 할 말이 없고...
결국은 타케P의 성장을 보여주기 위한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거기에 높은 위치에 있으니 당연히 기업가적으로 움직일수밖에 없구요.
상무의 행동은 일반적인 사회상에서생각했을때는 트롤러기는 커녕 엄청 관대합니다.
사실상 횡포라할만한건 진행프로젝트 전면 백지화 정도일까요.
그외면을 보면 우수한 인재는 아낌없지지원하고, 만약 그인재가 상무가 추구하는방향성과 맞지않더라도
패널티를 부과하지도않고 활동시킵니다.
다만, 이런모습은 진지한 사내정치물이었거나 좀더 무거운 작품이었으면 드러났을 일이지만 이건
아이돌들이 꺆꺆 우후후 하는 아이돌물이라는거죠.
요약하면 제작진이 뽀로로에다가 베르세르크의 가츠를 신등장인물로 집어넣은 격인것같아요.
속였구나! 제작진!
이 블로그에서 번역한 인터뷰를 보면 '그리고 결정적인 단점. 왜 모두가 솔로 활동을 하고 있는 건가요?'에 대한 제작진의 답변이 담겨있지 않나 싶네요.
765는 모든 아이돌이 가족과도 같지만, 346은 가족보다는 같은 반의 친구와 같다고 표현했다는 점을요.
저도 그래서 데레마스가 좀 더 현실적이지만 높게 쳐주지는 못하겠네요.
프로젝트 크로네의 발촉 덕분에 타케우치P x 후미카, 타케우치P x 카나데라는 새로운 장르의 가능성을 열어줬으니까요.(뭐래.)
여기서도 상무는 등장하며(이 때는 부장 직함이지만), 성격이나 태도는 원작과 크게 다를 바 없습니다.
......근데 이 소설을 읽다보면 상무가 정말이지 개념인 of 개념인으로 보인다는게 함정이지요. (일절의 미화도 없는데)
다만 25화의 라이브는 정말......한숨이 푹푹 나오는군요. 아니, 작화감독이 11명이나 달라붙고 그 밖에 무수한 인원을 갈아 만들었다던 최종화가 이런 식이라니 말이 됩니까? 하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