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카테고리.

  1. 전체목록

  2. 그림

  3. 미디어



그림

이것은 어쩌면 당신의 이야기

댓글: 5 / 조회: 1281 / 추천: 5



본문 - 09-19, 2018 22:29에 작성됨.

링크 /  Demons -Imagine Dragons  


안녕하세요 프로듀서 여러분. Weissmann입니다.

서른 여덟 번째로 그려본 창작 그림은 '사기사와 후미카',

'문학 소녀' 시리즈 다섯 번째로 장르는 '설화 문학' 입니다.


노노의 '아동 문학(동화)', 란코의 '환상 문학(판타지)', 아스카의 '공상 과학 문학(SF)'

그리고 히나코의 '연애 문학(로맨스)'에 이어 어느덧 다섯번 째를 맞은 '문학소녀 시리즈'

이번에 그려본 것은 모든 이야기들의 '근원'인 '신화, 전설, 민담'을 아우르는 '설화 문학'입니다.


99B69B4A5BA23DC118


후미카양이라고 하면 왠지 모르게 '순수 문학' 장르를 떠올리게 만들지만

유닛 '카에루라'의  드라마 에피소드(고카트 사건이 나오는 그 이야기...)에서

바빌로니아의 신인 '마르두크'를 알고 있다거나...유닛 '아인헤리어'의 일원으로 활약하며

북유럽 신화의 '발키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는 등, 데레스테 커뮤니케이션에서 

여러 장르에 걸쳐 신화에 박학다식한 면모를 보여준 점에서 설화 문학을 꼽아보았답니다.


 특히나 '문학 소녀 시리즈'의 마지막인만큼 대미를 장식하는 포괄적인 이야기를

그려보고 싶었습니다.


설화는 얼핏 듣기엔 굉장히 낯선 단어같지만 사실 우리에게 무척이나 친숙한 소재랍니다.

학습 만화로 널리 알려진 '그리스, 로마 신화'뿐 아니라, 게임 장르의 필수요소인 '북유럽 신화'

그리고 아시아권을 관통하는 각종 '요괴나 귀신' 이야기들 역시 한번쯤은 들어보았죠. 

 

기이하고 이상한, 평범하지 않은 이야기, 설화는 모든 이야기의 시작입니다. 

'문자로 기록된 세계 최초의 이야기' 역시 수메르의 길가메시 신화로 알려져 있습니다.

죽음과 맞서 싸우는 용감한 주인공의 여정을 그려내면서, 그 속에 

당대 사람들의 철학이나 생각들을 녹여내었기에, 지금 보아도 굉장히 사색적이고

흥미로운 이야기임에 틀림이 없어보입니다.


특히나 설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대개 범접하기 힘든 존재들이 많죠.

 보통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들이 무척 인간적이라 격이 없어보인다고(...) 일컫어지지만

그들 역시 엄연히 '신'은 '신'이기에 번개를 던지거나 해일을 일으키는 등

마음만 먹으면 엄청난 일을 일으킬 수 있죠. 


이처럼 '이야기'가 처음 시작되었을 때 '문학'의 주인공은 '신성하거나 신비로운 존재'

혹은 '비범하거나 남들과는 다른 특별한 존재'들이었습니다.


9999264A5BA23DC030


설화는 사실 정말 오래된 이야기들입니다.

너무나 케케묵어서 조금만 건드리면 바스라져 사라질것만 같은

닳고 닳은 이야기들입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그 이야기들은 사람들에게 읽혀지고

또 무수히 재해석되고 재창조되고 있습니다.


세상에 처음 태어나 바라본, 기이한 이 별에서의 삶에 대한 느낌과 생각들에

인간의 욕망이나 염원이나 바람, 철학을 더해져 '설화'가 만들어지기까지

 얼마나 많은 시간들이 필요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오늘날의 문학이 이러한 이야기들의 후예라는 점에서

설화에 담긴 생각들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유효하게 다뤄지고 있다는 건

 여전히 사람들에게 전해지는 의미가 있다는 뜻이겠죠.


다만, 과거의 신화나 전설들과 달리

오늘날 대부분의 이야기들의 주인공은 더 이상 신성하거나 기이하지 않습니다. 

일부 특수한 장르를 제외하면 당장 우리와 같은,

평범하고 일상적이며 무엇보다 특별하지 않은 보통의 존재들입니다.


과거 신성한 존재들을 통해 전달하고자 한 이야기와 비슷한 주제와 플롯이

오늘날 볼품없는 주인공들을 내세워서도 여전히 유효한 까닭은 무엇일까....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img.png


그러고보니 스위스 출신의 한 심리학자는

여러 문화권 속 신화나 전설 속에 나타난 상징과 비유의 공통적인 의미들이

사실은 인간의 '무의식'의 일면이라고 이야기한 적이 있군요.


이를 확실하게 입증할 방법은 없지만

결국 태초의 이야기들 속에는

시간이나 공간을 초월한 인간의 '마음'이 담겨있기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닐까 싶습니다. 


창세신화에서 부터 시시콜콜한 전래동화에 이르기까지

세계 각지엔 수 많은 신화나 전설들이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

그 속의 신성한 존재들 역시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합니다.

그러나 이들 모두가 '인간의 마음'에서 비롯된 존재들이라는 점이 공통점이라 생각되네요.


시간이 지나도 빛바래지 않고 영롱하게 전해지는 별빛처럼,

 낡은 점토판이나 비석, 닳아빠진 양피지, 빛 바랜 종이 위의

이야기들이 오랜 시간동안 숱한 형태로 재창조되고 다시 태어나면서


 오늘날의 명멸하는 액정 화면 속에서도  여전히 반짝임을 잃지 않을 수 있는 까닭 역시

문학이 결국은 인간의 마음을 그려낸 것이기 때문은 아닐까...그런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흔히 '문학'은 어디까지나 허황되고 그럴싸한 이야기라고 정의되지만

사실 그 속에 담겨진 생각이나 의미는 결코 헛되지 않기에

사람들은 오랫동안 이야기를 만들고 또 이야기를 해왔는 걸지도 모르겠습니다.


img.png

                      전설 속의 신들이 더 이상 두렵고 무서운 존재가 아닌

하나의 '문화 콘텐츠'가 되어버린 현대 사회.


진보되는 과학기술 앞에서 사람들은 더 이상 과거의 사람들처럼

'별자리 이야기'나 '신화'를 믿지는 않습니다.


혹자는 '문학'이 죽어가고 있으며 결국 사람들은

'문학'이 무엇인지 모르게 될 것이라 걱정합니다.


정보화 시대에 들면서 사람들이 책을 점차 멀리하고 읽지 않으면서

숱한 이야기들이 잊혀지고 또 사라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죠.


그렇지만 문학이 결국 '인간의 마음'을 쓰고 고민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저는 문학은 결코 죽지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사실, 인간의 삶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이야기니까요.


 분명 태초에 이야기는 인간의 것이 아닌 '신'들의 것이었습니다.

거기다 전근대에는 그것이 인간들 가운데서도 '왕과 귀족'들의 이야기 였죠.

그렇지만 오늘날의 이야기는 더 이상 소수만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그것은 나와 너의 이야기, 지금 여기 우리들의 이야기입니다.


 과거엔 '신성한 존재'만이 '기록될만한 것'이었다면,

오늘날에는 그 누구든, 평범하든 특별하든 '보통의 존재'인 모두가

기록될만 한 것이 되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네요.

평범한 누군가의 일상과 생각도 또 다른 누군가에겐 충분히 특별하기 때문일까요?


인간이 끊임없이 삶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인간의 마음이 여전히 살아 숨쉬는 한,

사람은 생각을 하고 글을 쓰고 이야기할 것입니다.

  

문학, 이것은 어쩌면 당신의 이야기.....

지금 당신은 어떤 이야기를 살고 계신가요?


img.png


- 지금까지 [문학 소녀 시리즈 5부작]을 지켜봐주시고 응원해주신

모든 프로듀서님들께 감사드립니다. - 

5 여길 눌러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