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더월드 프로듀서 호칭에 대하여

댓글: 2 / 조회: 574 / 추천: 0


관련링크


본문 - 11-13, 2017 16:13에 작성됨.

제 창작 세계에서 프로듀서들의 호칭을 결정하는 기준을 뜬금없이 말하자면
지금 담당하고 있는 것이 아이돌 개인이냐, 유닛이냐.
프로듀서의 컨셉이 뭐냐

지금의 크로네p를 예로 들자면,
크로네p가 최초에 나오와 카렌만을 담당하던 시절에는
크로네p의 컨셉을 살려 여장p였습니다.
여기서 나오와 카렌에 린이 합류하여 트라프리가 결성되자 나오, 카렌의 담당 프로듀서이자 트라프리라는 유닛의 유닛 프로듀서가 되어 트라프리p,
마지막에는 크로네라는 한 프로젝트 유닛을 담당하게 되면서 크로네p가 되었죠.

비슷한 예를 하나 더 들자면 포지패p가 있는데
아이코와 아카네만을 담당하던 시절에는 페어리p였다가
미오가 합류하면서 포지패가 생기자 포지패p가 되었죠.

립스p의 경우는 최초의 담당 아이돌이 프레데리카뿐이었기 때문에 프레p였다가 시키가 합류하자 레이지레이지 유닛의 프로듀서인 레이지p가 되었죠.
그 다음에 카나데, 슈코가 합류하고 립스라는 유닛이 결성되자 립스를 담당하게 되면서, 립스p가 되었답니다.
그래요. 의외로 립스p는 미카의 담당 프로듀서가 아니었던 겁니다. 미카p는 따로 있는 것이었습니다.

이들과는 별개로 반대로 아이돌이 다른 프로듀서에게 배정되면서 호칭이 변한 케이스도 있죠.
아스카p는 원래 시즈오카p(아스카, 토키코, 시호, 쿠루미)였지만 이들 중에 아스카만 남게 되면서 아스카p가 되었네요.


후후, 설정을 풀어보니 정신이 맑아지네요.
시간이 나면 데이드림 쪽 프로듀서 호칭도 정리해보고 싶어요.
0 여길 눌러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