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프로듀서
댓글: 0 / 조회: 944 / 추천: 0
일반 프로듀서
관련 링크가 없습니다.
1. 국가 정보
* 국명: 남코 공화국
* 체제: 민주공화제, 대통령 중심제, 문민통제, 양원제
* 국가원수: 남코 공화국 대통령
* 수도성: 이시카와 성계 제5행성 남코
* 수도: 행성 남코 - 남코폴리스
* 인구: 약 32조 명
* 공용어: 은하 공용어(미래 영어)
* 통화: 달러
* 군사: 남코 공화국 군
* 기년법: AD
2. 정치 체제
* 입법부
* 국원, 민원 양원 구성
* 국원 - 인사권, 외교권 등 대외 주권 문제 처리
* 민원 - 입법권등 국내 문제 처리
* 사법부
* 3심제 운영중, 사형 구심 존재
* 행정부
* 대통령 예하 20여개 부서 존재
* 국방부
* 외은하 개발부
* 이시카와 미노리 장관 지휘하에 개척중
* 교통통신부
* 지방자치
* 중앙 집권 체제이되 지역 의회와 지역 지사가 존재해, 지역을 담당하는 구조
* 예외로 외은하 영역의 경우 국가에서 직접 지사를 파견해서 외은하 준주를 운영 중, 단 의회와 외은하 지사는 동일하게 존재
3. 경제
* 자유방임+국가통제 혼용
* 3016년 디폴트 사태이후 회복 시도중, 현재 데시비르 법으로 70퍼센트 회복하고 박-윌슨 법으로 재정 낭비를 해소해 국방력 강화중
* 3019년 데시비르 법의 통과로 교통, 통신시설, 자원 시설 국유화 단행
* 군비가 3028년 기준 국가 예산의 20%를 차지하지만 데시비르 법에 의한 국유화로 인해 경제 상태가 완화되면서 갈수록 비중이 떨어지는 중
4. 외교
* 미시로 연방
* 유일한 수교국
* 외교 무관 : 고위급(소장 급)으로 상호교환하고 있는 중
* 켄터베리 조약(2936)으로 연합국으로 참여 중
* 은하 제국
* 비 수교국, 국방부 지정 공식 적국(2937~)
* 구 바스카라 공화국 영토, 구 공화국 영토 외곽에서 대치중, 그 최전선 사령부가 펠렐리우 사령부와 티니안 사령부
5. 제4차 은하대전부터 3028년 8월 쿠데타 이전까지의 역사
* 2936.09.26 캔터베리 조약으로 미시로 연방과 동맹을 맺음
* 2936.10.06 바스카라 공화국의 대 미시로 연방 선전포고
* 2936.10.08 비슈누 작전(바스카라 공화국의 남코 공화국 침공계획, ~2937.02.06)
* 2937.01.04 옐친그라드 조약으로 우르노프 제국과 동맹을 맺음
* 2937.01.12 남코 공화국, 미시로 연방의 대 은하 제국 선전포고
* 2937.02.18 아바나 작전(남코 공화국, ~2938.9.26)
* 2937.06.14 남코 공화국의 산스크리트 함 나포사건
* 2938.07.02 남코 공화국의 바스카라폴리스 공습
* 2940.08.04 다름슈타트 공방전
* 2941.04.06 매킨지 작전
* 2943.11.14 펠렐리우 공방전
* 2951.01.12 티니안 공방전
* 2953.12.25 아우렐리우스 작전(미시로 연방의 우르노프 제국 수복 작전, ~2955.02.23)
* 2954.04.24 마힌드라 대화재
* 2956.08.02 칼레 공방전
* 2969.01.22 엘 피네 항쟁
* 2971.03.19 나폴레옹 함 실종사건
* 2973.04.17 템페스토 함 실종사건
* 2982.06.14 투싼 전투
* 2984.07.12 드골 함 사건
* 2985.02.28 네루 쿠테타
* 2987.04.30 마힌드라 전투
* 2989.07.01 타카키 준지로 소위 임관
* 2994.12.29 바스카라 공화국 멸망
* 2996.07.02 뭄바이 공방전
* 2999.03.30 펠렐리우 조인
* 3002.06.17 첸나이 입성(남코 공화국)
* 3006.09.24 라스푸틴 함 사건
* 3011.02.28 자르푸르 공방전
* 3013.07.08 BP중공업 파산
* 3016.01.03 남코공화국 디폴트선언
* 3020.07.31 크로이소스 공방전
* 3023.06.30 타카키 준지로 원수 예비역 편입
* 3028.08.07 펠렐리우 전방사령부 폭탄테러사건
* 3028.08.08 티니안 전방사령부 폭탄테러사건
* 3028.08.28 8.28 쿠데타(본편의 시작)
6. 군사(3028.8.28 기준)
* 총사령부를 중심으로 각 군을 배치해놨는데, 특정 군사령부 구분이 따로 없는 것이 특징
* 다만 우주군이 중심인 만큼 대다수의 장교들이 우주전 훈련을 꾸준히 받아오는 중
* 코넬리-빈슨 법(3024)으로 장기 전력 교체가 예정되어 있고, 3028년에도 꾸준히 신형 전투정항모가 계속 취역중에 있었다.
* 편제:
* 펠렐리우 사령부
* 펠렐리우 함대
* 제 2함대
* 사령관: 오토나시 코토리 중장
* 기함: 전함 프시케
* 제 3함대
* 제 4함대
* 제 5함대
* 사령관: 브라우닝 중장
* 기함: 전함 아레스
* 제 7함대
* 제 8함대
* 제 10함대
* 제 1전구사령부
* 제 1공역통제사령부
* 제 2전구사령부
* 제 2공역통제사령부
* 제 49공수여단
* 티니안 사령부
* 티니안 함대
* 제 1함대
* 제 6함대
* 제 9함대
* 제 11함대
* 제 12함대
* 제 3전구사령부
* 제 55공수여단
* 후방군사령부
* 제 1경비사령부
* 제 2경비사령부
* 제 3경비사령부
* 제 4경비사령부
* 제 5경비사령부
* 제 16함대
* 기함: 전함 케르베로스
* 제 17함대
* 제 4전구사령부
* 남코방위사령부
* 카이탁 행성 관제사령부
* 제 765집단군
* 제 1공수여단
* 제 35공수여단
* 제 62공병여단
* 제 72방공여단
* 수도방위함대
* 국가정보사령부
* 군수사령부
* 르제프 군수여단
* 타친스카야 군수여단
* 교육사령부
* 남코 사관학교
* 남코 2사관학교
* 남코 3사관학교
* 제 13함대
* 제 45공수여단
* 제 14함대
* 제 15함대
* 국방과학기술연구소
* 외은하사령부
* 제 5전구사령부
7. 모티프
* 정치 체계: 미국
* 경제 체계: 1930년대 말 미국
* 군사: (거의) 현대 미국군
* 전략: 독소전 당시 소련
* 성계 명의 유래: 영국, 프랑스, 일본을 제외한 전세계 지명(보통 동유럽계 지명이 사용)
8. 소속 인물들(3028.8.28 기준)
* 타카키 준지로(58) - 공화국 대통령, 공화국 군 예비역 원수
* 오토나시 코토리(38) - 공화국 군 중장, 제 2함대 사령관, 펠렐리우 사령관 대리
* 아카바네 켄지(35) - 공화국 군 소장, TF 31 사령관, 제 3함대 사령관 대리
* 마지마 준지로(34) - 공화국 군 소장, TF 13 사령관, 티니안 사령관 대리 겸 제 1함대 사령관 대리
* 바바 코노미(34) - 공화국 군 소장, 펠렐리우 비행기지 사령관, 펠렐리우 함대 비행사령관 대리
* 사쿠라모리 카오리(33) - 공화국 군 소장, 티니안 함대 작전참모장, 티니안 함대 참모장 대리
* 모모세 리오(33) - 공화국 군 준장, TG 32.1 사령관, TF 32 사령관 대리
* 토요카와 후카(32) - 공화국 군 준장, 펠렐리우 군 병원 사령관, 펠렐리우 보급대 사령관 대리
* 미우라 아즈사(31) - 공화국 군 준장, TF 173 참모장
* 니카이도 치즈루(31) - 공화국 군 준장, TG 94.2 사령관, 제 9함대 참모장 대리
* 아오바 미사키(30) - 공화국 군 준장, 정보사령부 작전2팀 팀장
* 키타카미 레이카(30) - 공화국 군 대령, 제 12함대 작전참모, TF 121 사령관 대리
* 아키즈키 리츠코(29) - 공화국 군 대령, 정보사령부 작전2팀 정보작전1과장
* 토쿠가와 마츠리(29) - 공화국 군 대령, 제 16함대 기함 전함 케르베로스 함장
* 마이하마 아유무(29) - 공화국 군 대령, 미시로 연방 파견 외교무관
* 시죠 타카네(28) - 공화국 군 대령, 남코방위사령부 예하 카이탁 행성 방공관제사령부 주 관제소장
* 타나카 코토하(28) - 공화국 군 대령, 제 15함대 제 15함대항공사령부 예하 제 508항공비행단 사령관
* 사타케 미나코(28) - 공화국 군 중령, 르제프 군수여단 군수참모
* 후쿠다 노리코(28) - 공화국 군 중령, 제 14함대 지상작전참모
* 아마미 하루카(27) - 공화국 군 중령, 수도방위함대 예하 구축함 갤러헤드 함장
* 하기와라 유키호(27) - 공화국 군 중령, 남코방위사령부 제 765집단군 제 35공수여단장
* 키쿠치 마코토(27) - 공화국 군 중령, 남코방위사령부 제 765집단군 제 62공병여단장
* 시마바라 엘레나(27) - 공화국 군 중령, 제 15함대 제 510항공비행단 제 1비행대대장
* 타카야마 사요코(27) - 공화국 군 중령, 티니안 사령부 예하 제 55공수여단장
* 요코야마 나오(27) - 공화국 군 중령, 제 9함대 작전참모
* 마카베 미즈키(27) - 공화국 군 중령, 제 8함대 작전참모
* 시라이시 츠무기(27) - 공화국 군 중령, TF 133 작전참모장
* 키사라기 치하야(26) - 공화국 군 중령, 남코방위사령부 제 765집단군 제 72방공여단장
* 가나하 히비키(26) - 공화국 군 중령, 제 17함대 제 17함대항공사령부 예하 전투정모함 베르타 관제장교
* 토코로 메구미(26) - 공화국 군 중령, 제 7함대 정보참모
* 노노하라 아카네(26) - 공화국 군 중령, 티니안 사령부 정보참모
* 마츠다 아리사(26) - 공화국 군 중령, 티니안 사령부 작전참모
* 코사카 우미(26) - 공화국 군 중령, 제 13함대 예하 제 45공수여단장
* 시노미야 카렌(26) - 공화국 군 중령, 제 7함대 작전참모
* 줄리아(26) - 공화국 군 중령, 남코 사관학교 교수
* 호시이 미키(25) - 공화국 군 중령, 제 17함대 작전참모
* 미나세 이오리(25) - 공화국 군 중령(진), 남코방위사령부 제 765집단군 15비행대대 1편대장
* 나가요시 스바루(25) - 공화국 군 중령, 펠렐리우 사령부 예하 제 49공수여단장
* 한다 로코(25) - 공화국 군 소령, TF 77 작전참모
* 나나오 유리코(25) - 공화국 군 소령, 제 7함대 기함 에키드나 통신대장
* 텐쿠바시 토모카(25) - 공화국 군 소령, 제 24구축함전대 참모장
* 타카츠키 야요이(24) - 공화국 군 소령, 남코방위사령부 제 765집단군 15비행대대 2편대장
* 카스가 미라이(24) - 공화국 군 소령, 수도방위함대 예하 초계함 올리버 함장
* 모가미 시즈카(24) - 공화국 군 소령, 제 17함대 예하 초계함 마그누스 345 함장
* 이부키 츠바사(24) - 공화국 군 소령, 제 3함대 작전참모
* 모치즈키 안나(24) - 공화국 군 소령, 국방과학기술연구소 통신대장
* 키타자와 시호(24) - 공화국 군 소령, 제 15함대 작전참모
* 야부키 카나(24) - 공화국 군 소령, 제 15함대 작전참모
* 키노시타 히나타(24) - 공화국 군 소령, 타친스카야 군수여단 보급대대장
* 후타미 아미(23) - 공화국 군 소령, 남코방위사령부 제 765집단군 17비행대대 1편대장
* 후타미 마미(23) - 공화국 군 소령, 남코방위사령부 제 765집단군 17비행대대 2편대장
* 하코자키 세리카(23) - 공화국 군 대위, 제 2공역통제사령부 관제장교
* 에밀리 스튜어트(23) - 공화국 군 대위, 제 2공역통제사령부 관제장교
* 오오가미 타마키(22) - 공화국 군 중위, 남코 3사관학교 사무관
* 스오 모모코(21) - 공화국 군 소위, 제4전구사령부 사령부 직할대 소대장
* 나카타니 이쿠(20) - 공화국 군 사관 후보생
* 이시카와 미노리(58) - 외은하개발부 장관, 디폴트 사태 이후 끊길뻔한 외은하 개발을 다시 시작한 장본인
* 오카모토 마나미(39) - 외은하 지사,
* 히다카 마이(39) - 공화국 군 예비역 중장, 현재는 외은하 준주 아부다비 성계 제6행성 모스크바에서 거주중, 히다카 아이의 친엄마이자 전 타카키 파 장교 수장.
* 히타카 아이(23) - 공화국 군 소령, 외은하사령부 제 5전구사령부 작전참모
* 미즈타니 에리(25) - 공화국 군 중령, 외은하사령부 정보참모
* 아키즈키 료(25) - 공화국 군 중령, 아키즈키 리츠코의 사촌동생, 외은하사령부 정보참모
==================================
각 나라별로 설정을 만든걸 처음으로 정리해서 올립니다
세 나라니까 총 3편
역사부분은 이전에 전쟁의 흐름차원에서 정리해서 그냥 언급하는 식으로 지나갈 예정인지라 저도 노코멘트
근데 세계관이 확장된다면 아마 쓸지도 모를 일이지만 일단 이정도 선에서 정리하려고요
두개 편이 더 남았습니다
꾸준히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총 3,612건의 게시물이 등록 됨.
댓글 목록.